인구수 변화에 착안하여 빅테크 기업들이 벌이고 있는 투자활동에 관한 지난 포스팅(아래 링크)의 세 번째 부록으로 2022년 7월 1일 기준 아시아 인구수를 정리하였습니다.
빅테크 기업이 주는 꿀팁 투자 아이디어 (feat. 전세계 인구수)
1973년부터 2023년까지 전 세계 인구수 상위 국가 변천사와 향후 인구수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인구수 변화에 착안하여 빅테크 기업들이 어떠한 투자활동을 벌이고 있는지, 이러한 관찰로
orothy.tistory.com
1. 아시아 인구수 하이라이트
2022년 기준으로 아시아의 인구수는 전 세계의 대륙 중 가장 많은 약 47억 명에 이릅니다. 아시아 대륙은 전 세계 인구수 1, 2위에 자리하는 중국과 인도가 속한 대륙입니다. 그런데 2023년에는 인도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로 이름을 올리는 역사적인 순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은 수 세기에 걸쳐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자리를 고수하였으나, 중국의 산아제한 정책에 따른 인구 증가율 둔화와 인도의 꾸준한 인구수 증가가 맞물리면서 드디어 순위 바꿈이 코앞으로 다가온 상황입니다. 이미 2021년 기준 중국의 출산율은 1.15로서 유엔이 인정하는 대체출산율 2.1(인구가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출산율)에 크게 미달한 바 있으며, 머지않은 미래에 인구 감소기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면 인도의 경우 현재의 추세를 유지한다면 2050년에는 인구수가 16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아시아는 국가별 인구 증가율의 격차가 가장 극심한 대륙 중 하나입니다. 스펙트럼의 한쪽 끝에는 싱가포르나 일본과 같이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국가들이 있는 반면, 그 반대편에는 4~5%라는 왕성한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오만과 카타르 같은 중동 국가들이 있습니다. 베트남은 후자에 가까운 국가로서 조만간 인구수 1억 명을 돌파하는 15번째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아시아 국가별 인구수(국가명 순)
유엔 경제사회국(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 DESA) 인구부서(Population Division)가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아시아 대륙의 지역별로 국가별 인구수를 국가명 기준으로 정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국가명/정식국가명은 국립국어원의 2014. 8. 26. 자 국가명 한글 표기 기준(안)을 참고하였으며, 여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국가(아래 표에서 * 표시)들의 명칭은 나무위키를 참고하였습니다.
국가명 | 정식국가명 | 인구수 |
아시아 | 4,722,634,764 | |
중앙아시아 | 77,039,831 |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공화국 | 34,627,652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공화국 | 19,397,998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즈공화국 | 6,630,623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공화국 | 9,952,787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6,430,770 |
동아시아 | 1,663,200,049 | |
대만* | 중화민국 | 23,893,394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51,815,810 |
마카오* | 마카오 특별행정구* | 695,168 |
몽골 | 몽골 | 3,398,366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6,069,416 |
일본 | 일본국 | 123,951,692 |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 | 1,425,887,337 |
홍콩* | 홍콩 특별행정구* | 7,488,865 |
남아시아 | 2,007,549,714 | |
네팔 | 네팔연방민주공화국 | 30,547,580 |
몰디브 | 몰디브공화국 | 523,787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인민공화국 | 171,186,372 |
부탄 | 부탄왕국 | 782,455 |
스리랑카 | 스리랑카민주사회주의공화국 | 21,832,143 |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이슬람공화국 | 41,128,771 |
이란 | 이란이슬람공화국 | 88,550,570 |
인도 | 인도공화국 | 1,417,173,173 |
파키스탄 | 파키스탄이슬람공화국 | 235,824,862 |
동남아시아 | 681,125,064 | |
동티모르 | 동티모르민주공화국 | 1,341,296 |
라오스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 7,529,475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 33,938,221 |
미얀마 | 미얀마연방공화국 | 54,179,306 |
베트남 |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 98,186,856 |
브루나이 | 브루나이다루살람 | 449,002 |
싱가포르 | 싱가포르공화국 | 5,975,689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공화국 | 275,501,339 |
캄보디아 | 캄보디아왕국 | 16,767,842 |
태국 | 태국 | 71,697,030 |
필리핀 | 필리핀공화국 | 115,559,009 |
서아시아 | 293,720,106 | |
레바논 | 레바논공화국 | 5,489,739 |
바레인 | 바레인왕국 | 1,472,233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왕국 | 36,408,820 |
사이프러스 | 사이프러스공화국 | 1,251,488 |
시리아 | 시리아아랍공화국 | 22,125,249 |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연합국 | 9,441,129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공화국 | 2,780,469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공화국 | 10,358,074 |
예멘 | 예멘공화국 | 33,696,614 |
오만 | 오만왕국 | 4,576,298 |
요르단 | 요르단왕국 | 11,285,869 |
이라크 | 이라크공화국 | 44,496,122 |
이스라엘 | 이스라엘국 | 9,038,309 |
조지아 | 조지아 | 3,744,385 |
카타르 | 카타르국 | 2,695,122 |
쿠웨이트 | 쿠웨이트국 | 4,268,873 |
튀르키예* | 튀르키예공화국* | 85,341,241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국 | 5,250,072 |
3. 아시아 국가별 인구수(인구수 순)
한편 아시아 대륙의 국가별 인구수를 인구수가 많은 국가 순서대로 정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국가명 | 정식국가명 | 인구수 |
아시아 | 4,722,634,764 | |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 | 1,425,887,337 |
인도 | 인도공화국 | 1,417,173,173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공화국 | 275,501,339 |
파키스탄 | 파키스탄이슬람공화국 | 235,824,862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인민공화국 | 171,186,372 |
일본 | 일본국 | 123,951,692 |
필리핀 | 필리핀공화국 | 115,559,009 |
베트남 |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 98,186,856 |
이란 | 이란이슬람공화국 | 88,550,570 |
튀르키예* | 튀르키예공화국* | 85,341,241 |
태국 | 태국 | 71,697,030 |
미얀마 | 미얀마연방공화국 | 54,179,306 |
대한민국 | 대한민국 | 51,815,810 |
이라크 | 이라크공화국 | 44,496,122 |
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이슬람공화국 | 41,128,771 |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왕국 | 36,408,820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공화국 | 34,627,652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 33,938,221 |
예멘 | 예멘공화국 | 33,696,614 |
네팔 | 네팔연방민주공화국 | 30,547,580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6,069,416 |
대만* | 중화민국* | 23,893,394 |
시리아 | 시리아아랍공화국 | 22,125,249 |
스리랑카 | 스리랑카민주사회주의공화국 | 21,832,143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공화국 | 19,397,998 |
캄보디아 | 캄보디아왕국 | 16,767,842 |
요르단 | 요르단왕국 | 11,285,869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공화국 | 10,358,074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공화국 | 9,952,787 |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연합국 | 9,441,129 |
이스라엘 | 이스라엘국 | 9,038,309 |
라오스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 7,529,475 |
홍콩* | 홍콩 특별행정구* | 7,488,865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즈공화국 | 6,630,623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6,430,770 |
싱가포르 | 싱가포르공화국 | 5,975,689 |
레바논 | 레바논공화국 | 5,489,739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국 | 5,250,072 |
오만 | 오만왕국 | 4,576,298 |
쿠웨이트 | 쿠웨이트국 | 4,268,873 |
조지아 | 조지아 | 3,744,385 |
몽골 | 몽골 | 3,398,366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공화국 | 2,780,469 |
카타르 | 카타르국 | 2,695,122 |
바레인 | 바레인왕국 | 1,472,233 |
동티모르 | 동티모르민주공화국 | 1,341,296 |
사이프러스 | 사이프러스공화국 | 1,251,488 |
부탄 | 부탄왕국 | 782,455 |
마카오* | 마카오 특별행정구* | 695,168 |
몰디브 | 몰디브공화국 | 523,787 |
브루나이 | 브루나이다루살람 | 449,002 |
4. 더 이상 인구만 많은 대륙이 아니다
오늘날까지 아시아는 인구수는 많지만 동아시아의 몇 개 국가와 중동의 산유국들을 제외하면 인구수만 많은 개발도상국의 이미지가 강하였습니다. 그러나 인도를 필두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의 국가들이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중국을 대체하는 세계의 공장으로서 기능하거나 자원 외교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하면서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축적된 국부를 바탕으로 중산층 인구가 늘어나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에 많은 경제적 성장을 이뤄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Statista는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GDP 성장 전망치를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모두 중국의 성장 전망치에 비견되거나 이를 훨씬 능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DP 성장전망(%)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인도 | 6.84 | 6.06 | 6.81 | 6.78 | 6.53 | 6.17 |
인도네시아 | 5.34 | 4.97 | 5.38 | 5.34 | 5.21 | 5.12 |
베트남 | 6.05 | 7.25 | 7.04 | 6.95 | 6.84 | 6.73 |
말레이시아 | 5.4 | 4.38 | 4.92 | 4.42 | 4.44 | 3.94 |
중국 | 3.21 | 4.44 | 4.5 | 4.63 | 4.6 | 4.63 |
아마존, 구글, 메타 등 전 세계 시총 상위 대기업들이 다음 먹거리를 찾아 21세기 들어 아시아 국가에 많은 투자를 진행한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록 내년 경기 침체 전망으로 인해 이들 기업의 아시아에 대한 투자가 속도 조절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기는 하지만(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11280463i), 이를 장기적인 추세 전환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하겠습니다. 아시아의 성장 전망은 이들 국가에 투자하는 ETF 상품에 대한 투자 기회 모색이나, 개인보다 앞서 선견지명을 갖고 이들 국가에서 물밑작업을 진행 중인 빅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의 근거로 삼는 등 여러 가지 투자 아이디어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만큼, 앞을 내다보는 공부를 바탕으로 길목을 지키는 투자에 성공하는 경험을 한 번 해보았으면 하는 바람을 품고 이번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알쓸신잡 > 인구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테크 기업이 주는 투자 아이디어 부록(4) - 북미/남미/오세아니아 인구수(22년 하반기) (8) | 2022.12.16 |
---|---|
빅테크 기업이 주는 투자 아이디어 부록(2) - 유럽 인구수(22년 하반기) (12) | 2022.12.08 |
빅테크 기업이 주는 투자 아이디어 부록(1) - 아프리카 인구수(22년 하반기) (20) | 2022.12.08 |
전세계 국가별 인구수 변화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17) | 2022.11.10 |
댓글